아래 그림이 건설 현장에서 용접사에게 전달되는 리피아 페이퍼 이다.
도대체 저게 뭔가? 하고 고개를 갸우뚱 하겠지만..
여기엔 모든 정보가 다 담겨져 있다. 도면 번호와 뽀인트 번호, 그리고 결함의 종류까지.
용접사는 먼저 이 페이퍼 보는 법부터 배워야 한다.(페이퍼 보는 법은 다음 강좌를 주목해 주기 바란다)
내가 판단 하기에 이 리피아는 티그 투피스, 또는 쓰리피스를 돌릴때 스타트 시 들어간
불홀(포러스틱,기공)로 보인다
먼저 페이퍼를 보니 RT 촬영시 표기한 1번과 2번 사이에서 결함이 발생했다.
그럼 결함 부위를 표시하고
리피아 작업시는 항상 결함 부위 보다는 약간 더 길게 파는게 좋다.
사진으로 확인하기는 어렵지만 이렇게 그라인다로 조금씩 파다 보면 결함(불홀)이 들어간 부위가 나온다. 그럼 깨끗이 파내고 난 다음 (불홀은 항상 하나 이상 들어가 있다 주위를 좀 더 파서 한번 더 확인한다.)
다시 용접을 하면 되는 것이다. 물런 기존에 용접 되어진 각장이나 두께와 같게 때워야 한다.
그리고 그라인다로 마무리 (크레이터 결함이 있는지 확인하는것)
끝났다. 이로써 R2는 나오지 않을 것이다.
The strength to change what I can, the inability to accept what I can't and the incapacity to tell the difference.
나에 인생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