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ding World Blog.

해외 플랜트 건설현장의 다양한 이야기를 사진으로 담았습니다.

Welding World에서는 경험으로 터득한 기능과 기술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공간입니다. 특정 단체나 기업을 홍보하거나 이윤을 목적으로 광고물을 게재하지 않습니다. 간혹 몇몇 게시글이나 댓글에서 특정 기업, 단체를 홍보,비방하는 글이 있을 수는 있으나 이는 관리자에 의도와는 무관하며 몇몇 방문자에 게시글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제재하거나 삭제할 의무는 관리자에게 없지만 커뮤니티의 성격과 다른 게시물은 경고나 알림 없이 삭제처리 됩니다. 대한민국에 좀 더 밝고 건강한 건설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라며…

티스토리 뷰

 1. 주철용접

1.1 주철의 구성
(1) 액상변태
→ 강, 주철의 분기점: 2% C
→ 안정된 Eutectic: Austenite와 흑연(Graphite)로 구성
→ 준안정된 Eutectic : Austenite와 철산화물(Cementite)로 구성
→ 주철: 응고시 철, 탄소공정(Eutectic)을 생성하는 철, 탄소합금
→ 흑연화 촉진원소 (안정된 Eutectic) : Si, Cu, Ni
→ 탄화물 안정원소 (준안정된 Eutectic) : Ca, Mg, Te
→ 느린 냉각속도: 안정된 공정응고 (흑연화) 빠른 냉각속도: 준안정된 공정응고 (탄화물)

 

(2) 고상변태
준안정 상태(Cementite)는 고온의 고체상태에서 안정상태(흑연)로 분해
⊙ Austenite → 서냉시 → Ferrite, Pearlite
→ 급냉시 → Bainite, Martensite

 

(3) 종류
⊙ 백주철: Cementite 구성
⊙ 회주철: 흑연 구성
 

1.2 주철의 종류
(1) 회주철 (Grey Cast Iron)
⊙ 2.0∼4.5 % C, 1.0∼3.0 % Si
⊙ 나뭇가지 형태의 불연속적 흑연 Flake (편상흑연)
⊙ 10∼25 Kgf/㎟ : σY
⊙ 가공기 Base, 진동흡수 부분에 사용

 

(2) 구상흑연 주철 (Nodular Cast Iron)
⊙ Mg, Ce를 주탕전에 첨가시 구상흑연 생성
⊙ 40∼70 Kgf/㎟ : σY
 

(3) 가단주철 (Malleable Irons)
⊙ 백주철을 열처리하여 제작: 좋은 용접성을 가짐
⊙ Cementite가 분해하여 Ferrite와 Pearlite기지내에 탄소덩어리 형성

 

(4) 백심가단주철 (Whiteheart Malleable Irons)
⊙ 900∼1000℃에서 탈탄분위기하에서 장시간 소둔(Annealing): 기계적 성질 양호
 

(5) 흑심가단주철 (Blackheart Malleable Irons)
⊙ 탈탄없이 850∼950℃에서 백주철 주물을 소둔
⊙ 백주철의 탄소함량이 적은 것을 사용하므로 작업난이

 

(6) Pearlite가단주철
⊙ Ferrite흑심가단주철을 한번 더 열처리
⊙ Ferrite흑심가단주철보다 연성은 낮고 강도는 높다.

(7) Compacted Graphite Iron
⊙ Flake와 구상흑연의 중간 형상
⊙ Ti, Mg, Ce 첨가

 

(8) 백주철
⊙ Austenite와 Cementite 구성
⊙ 경도, 취성이 높다

(9) Austenite 주철
⊙ 편상흑연과 구상흑연의 형태로 제조

 

1.3 주철의 용접성
(1) 용접특성
⊙ 탈탄된 백심가단주철외에는 용접난이
⊙ Ferrite기지를 갖는 주철이 고 탄소기지를 갖는 주철보다 용접 용이
⊙ 편산흑연주철이 구상보다 취성이 강하고 용접이 난이

 

(2) 금속학적 영향
→ 용접부가 급냉시 백선화되면서 수축량이 편상흑연 주철에 비하여 많아 높은 잔류응력으로 균열의

    위험성,가공성 불량, 재질의 취성이 높다.

→ 용접시 백주철의 생성은 피할 수 없다.
→ 대책: 낮은 입열로 모재의 용융정도를 억제하거나 Brazing, soldering, 또는 분발용접을 적용
→ P의 함량이 높은 회주철은 응고시 저융점의 Fe-Fe3P공정물을 생성
    : 용착금속과 HAZ에 고온균열 발생, P>0.5% 일때 용접은 거의 불가
→ 주철은 높은 탄소함량으로 산소와의 반응에 의해 CO, CO2기공 형성

 

(3) 예열 및 후열
⊙ 예열
- 용접부를 서냉하여 Martensite를 최소화
- 수축응력을 분산하여 변형을 감소시키고 균열의 위험성을 낮춘다.
- 복잡한 형상의 예열시 불균일한 팽창이 일어나 균열의 가능성이 크다, 이경우 추천 예열온도보다

  100℃ 상승시킨다.
⊙ 후열
- 백주철과 Martensite가 생성된 용접부는 균일한 조직을 가진 유사부분에 비해 열등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다.
- 이 경우 후열처리하여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킨다.
: 백주철을 900∼950℃에서 최소 3시간 유지시키면 분해되며, 620℃에서 응력제거열처리(350℃까지 노냉)를 용접직후 실시하면 Martensite가 분해되어 연화되고 잔류응력도 감소한다.

 

1.4 용접재료의 선택
(1) 주철 용접봉(Nodular Iron) : ECI
⊙ 용착부가 모재와 동일
⊙ 고온예열 용접

 

(2) Ni합금 용접봉 : ENi-Fe, ENi-Fe-CI
⊙ 순수 Ni경우 강도가 낮아 절삭성이 좋다.
⊙ 모재 희석률이 높을 경우 흑연 석출로 인해 취성이 발생된다.
⊙ Ni-45%Fe는 모재와 기계적 성질이 비슷하다.
⊙ 냉간 또는 저온예열 용접
 

(3) 연강 용접봉 : Est
⊙ 탄소 Pick-up으로 인한 경한 Martensite가 냉각시 생성된다.
⊙ 백심가단주철과 같이 주철표면이 탈탄된 경우에는 저탄소층을 용접비드가 침투하지 않아 사용가능
⊙ 냉간용접

 

(4) 구리합금 용접봉 : ENiCu-A, EniCu-B
⊙ Bronze
⊙ 융점이 낮고 희석에 잘 견딘다.
⊙ 연화된 용접부는 수축력을 흡수한다.
⊙ 냉간용접
 

1.5 용접적용
(1) 용접구분
⊙ 열간용접
- 모재전체를 400∼600℃로 예열, 후열 및 응력제거 소둔이 필요하다.
- HAZ의 백선화를 억제
- 고온에서의표면산화 및 용접변형을 방지
⊙ 냉간용접
- 예열하지 않거나 국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예열한다.
- 작업용이하며 변형을 최소화
- HAZ의 백선화에 의한 균열, 절삭성 감소

 

(2) 용접 전처리
⊙ 용접부 개선작업
- 결함부는 기계적 또는 가우징으로 제거
- 가우징시에는 균열방지위해 국부적으로 300℃ 예열
- 필요시 균열부 제거전에 양끝단 Hole드릴링
- Cone형, U형, V형, X형

(3) 회주철의 보수용접
⊙ 주철봉 사용시
- 예열 500℃ 및 서냉시 : 무결함
- 예열 300℃ 및 공냉시 : 횡균열 및 Fusion line따른 종균열
⊙ Ni봉 사용시
- Fusion Line을 따라 MT결함 표시: 비자성체 Ni와 주철경계에 자분집적에 기인
- 예열 300℃ 및 공냉시 : 횡균열 및 Fusion line따른 종균열

 

[유동성에 따른 Flat 자세위한 3등분 구분]

 

2. TMCP강의 특성
2.1 구조용 강판의 제조
(1) As-Rolled Plate
⊙ 연속주조로 생산된 슬라브를 1100∼1200℃로 재가열하여 요구두께로 압연후 대기중에 냉각
⊙ 강도와 인성이 낮은 저급강 (A-Grade)

 

(2) Normalized Plate
⊙ 강도증가위해 합금원소를 첨가
⊙ 인성증가위해 불림처리로 조직미세화

 

⊙ As-Rolled와 Normalized Plate의 조성은 공히 Ferrite + Pearlite이며 미세화의 차이에 있다.

 

(3) TMCP(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강의 제조

⊙ 제어압연(Controlled Rolling)시 Austenite→Ferrite + Pearlite, 가속냉각(Accelerating Cooling)

    시에는 Pearlite → Banite로 바뀌어진다.

⊙ 제어압연시 Austenite의 결정립이 늘어나 단위부피당 입계면적이 증가하며, 연신된

    Austenite결정립에서 변태되어 생성되는 Ferrite의 결정립은 극히 미세화되어진다.

⊙ 만약 ‘부분적인 재결정구역에서 압연시에는 재결정부위와 미 재결정부위의 최종조직이 불균일해지므로

    본 구역을 통과후 제어압연해야 한다.
⊙ 비 재결정구역을 확장하여 압연필요시 Nb을 첨가하며, 비 재결정구역의 냉각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가열이 필요하나 작업상 불가능하다.
⊙ 가속냉각은 Ar3∼Ar1 (800→500℃)에서 물분사하여 급냉한다.

 

(4) 가속냉각 System
⊙ 강판전체가 균일하게 냉각
⊙ 잔류응력 및 변형을 최소화
⊙ 냉각속도, Ts, Tf의 정확한 조절

 

(5) TMCP강의 공정
⊙ 낮은 Slab재가열 온도 (950∼1200℃)

⊙ 재결정되는 Austenite영역에서의 압연
⊙ α+γ의 이상온도에서의 제어압연
⊙ 변태온도 영역에서의 가속냉각

 

(6) 선급용 자재구분
⊙ 연강(Mild Steel) : 인장강도 40 Kg/㎟
- A급, B급: 0℃에서 2.8Kg-m (27J), D급: -10℃, E급: -40℃
⊙ 고장력강(High Strength Steel, HT강): 인장강도 50 Kg/㎟
- AH급, BH급: 0℃에서 3.5Kg-m (34J), DH급: -10℃, E급: -40℃
* 1 Kg-m = 7.22 ft-lb

 

2.2 제어압연 및 가속냉각된 강의 특징
(1) 금속적 측면
⊙ 압연결과 단위부피당 입계면적을 증가시키고 결정립 내부에는 Deformation Band를 형성시켜 Ferrite의 핵생성 자리를 증가시킨다.
⊙ 이 상태에서 가속냉각시 Austenite가 Ferrite와 Pearlite의 변태시 발생Band를 분산, Pearlite대신 Banite가 생성되며 가속냉각시 조직은 더욱 미세화 된다.
 

(2) 기계적 측면
⊙ 인성의 변화없이 강도의 증가
⊙ 조직의 미세화는 인성 향상, Banite체적분률 증가 및 고용강화는 인성저하 측면으로 영향을 미친다.
⊙ 균일한 냉각을 위한 냉각속도는 약 10℃/sec이다.

 

(3) 용접측면
⊙ CE감소에 따른 저온균열 민감성을 감소시키고 예열의 저하를 가져온다.
⊙ 예열완화, 비수소계 용접봉 사용, 대입열 용접이 가능하다.

(4) 작업성
⊙ Hot-Forming
- 생성조직이 Bainite 및 Hardened Ferrite이므로 불안정한 조직이다.
- Ac3이상 가열시 Normalized 강재로 변환
- Hot-Forming은 절대불가하되 선상가열은 허용된다.
⊙ 열처리후의 연화현상
- Normalized 강이나 CR강재에 비하여 후열처리시 강도저하가 심하다.
⊙ 용접열영향부의 연화현상
- HAZ부위의 경도치 저하 즉 강도감소를 가져온다. 충격치 인성은 양호하다.
⊙ 절단후 변형

공유하기 링크
  •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